[마케팅] Digital 시대의 신제품 개발과 실전instanc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1 09:35
본문
Download : Digital 시대의 신제품.doc
그렇다면 어떻게 고객의 욕구를 디지털시대에 부응할 것이냐가 중요하다. 그렇기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 전략(strategy)이 필요했다. 1조원 정도의 라면시장에서 시장점(長點)유율이 1.5% 정도였는데 6,7개 정도의 라면회사 중에서 시장점(長點)유율 1.5%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렁탕이라면 point요인이 아마도 국물맛, 깍두기, 고기맛, 국수면발, 가격 등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시대가 되어도 본질적인 point요인은 큰 change(변화)가 없지만 디지털화는 이루어져야 한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igital 시대의 신제품 개발과 실전사례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디지털화 되가는 상품도 많고 전통적인 상품도 많이 있다. 빙그레의 아이스크림으로는 메로나, 더위사냥 등이 유명하고 수익을 많이 올리고 있다. 그래서 라면 & 스넥 사업부의 매출액이 약 430억원이었는데 180억원의 적자를 냈었다. 물론 가격, 유통, 촉진 등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상품을 고객들의 욕구에 맞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공장의 가동률도 라면은 15%, 스넥은 25% 정도에 불가했다. 日本(일본)의 프라스틱 반찬통이 었는데 日本(일본)말로 `주부의 소리로 만들었습니다`라고 써 있었다. 이 반찬통에 김을 집어넣어도 습기가 차지 않고 신선도가 오래 가게 만들어져 있었다. 상품을 개발한다는 것은 상품이 가지고 있는 point요인과 고객 욕구를 어떻게 맞추어 주는가하는 작업이다.
빙그레의 事例



Download : Digital 시대의 신제품.doc( 34 )
순서
빙그레는 3개의 사업부로 되어 있는데 아이스크림 사업부, 우유사업부, 라면 & 스넥 사업부로 나뉜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선택기준이 있을 것이다. 확장시켜 보면 내부의 서비스, 청결도, 주차의 편이 등등도 point요인이 될 수 있다. 설렁탕 골목에서 설렁탕 집을 선택한다고 하면 국물 맛을 중요시해서 선택할 수도 있고 양을 중요시해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전제품 중에서 세탁기를 보면 point요인인 내구성, 세척력, 옷감보호 등을 가시적으로 디지털화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고 R&D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작업이지만 동시에 디지털화가 이루어져야 할 제품인 것은 분명하다. 빙그레의 스넥은 꽃게랑, 야채타임 등이 있고 라면은 뉴면과 매운콩 라면이 있다.
[마케팅] Digital 시대의 신제품 개발과 실전instance(사례)
Digital 시대의 신제품 개발과 실전instance(사례)
마케팅의 기본 전략(strategy)은 상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의 소리를 잘 들어야 한다.
신제품개발 신제품개발성공 신제품성공사례
다. 소비자들의 욕구를 point요인에 얼마나 반영하느냐가 성공요인에 귀결된다된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가 되어도 그것이 변한 것은 아닐것이다. 그전에 빙그레의 라면은 우리집, 이라면, 맛보면 등의 라면이 있었지만 한정된 시장을 가지고 있었다. 우유사업부에서는 요플레, 바나나우유, 닥터캡슐 등이 있다. 전에 백화점에 갔었는데 독특한 상품을 본 적이 있다. 하지만 라면 & 스넥 사업부의 적자폭이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였다. 빙그레 전체적으로는 라면 & 스넥 사업부에서 180억원의 적자를 냈어도 여름철 메로나와 바나나우유 등으로 흑자를 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