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자政府 예산 1943억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5:43
본문
Download : 200411.jpg
본사업인 내년도 2단계 프로젝트에서는 크게 ‘수출입 물류 단일창구화’와 ‘물류 거점 정보화’가 거론되고 있다. 보안 강화책의 일환으로 터미널서버 방식 도입을 통한 대내외용 인터넷(Internet)망 분리작업에도 10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상태다.
이달 중 입찰제안서(RFP)가 공개될 예정인 1단계 사업에는 10억원이 투입돼 관련 기관 간 물류자료(資料) 표준화를 통한 공동활용 등이 중점 추진된다.
Download : 200411.jpg( 25 )
순서
내년 전자정부 예산 1943억원
설명
수출입 물류 단일창구화에서는 각 부처의 물류정보에 대한 ‘통합DB 구축’과 관련 기관의 각종 인·허가증을 통한 단계별 ‘화물 추적서비스 고도화’ 등이 추진된다. 양 센터는 실시간 상호백업체제로 구축된다. 이는 올해(900억원) 대비 두배 이상 늘어난 액수다.
◇범government 통합 전산환경 구축=내년도 전자government 과제課題의 the gist인 이 프로젝트는 내년에만 7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초특급이다.





3단계 사업으로 진행될 내년도 사업에서는 DB센터 및 보안 시스템 구축이 주요 계획에 포함됐다.
내년도 전자government 과제課題가 본사업 위주의 대형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제 2센터는 2007년 상반기까지 신축·입주을 목표(目標)로 현재 부지 선정작업이 한창이다. 물류거점 정보화에는 항만·철도·공항 등에서의 ‘전자태그(RFID) 적용’ 등이 계획돼 있다.
이 밖에 국방부·국가정보원 간 통합보안관제, 국내외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CRM 구축사업 등이 내년도 주요사업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 밖에도 △국정과제課題 실시간 관리(92억원) △전자무역서비스(90억원) △식의약품종합정보서비스(75억원) 등이 내년도 주요 전자government 과제課題로 꼽힌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etnews.co.kr
◇외교통상 정보화=올해 45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2단계 사업으로 진행중인 외교통상정보화(e디플로머시) 프로젝트에 내년에만 100억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규모도 최고 750억원까지 올라가 100억원대 이상 과제課題가 3개나 되는 등 전체 예산규모가 1943억원으로 대폭 증액됐다.
또 올해도 시행한 바 있는 보안 인프라 구축에 44억원을 투입, 전세계 재외공관으로 이를 확대 적용한다. 특히 이 프로젝트의 주관기관인 외교통상부는 30억원을 들여 미국 워싱턴DC의 주미 한국대사관 내에 본국에 있는 각종 장비의 백업기능을 겸비한 DB센터를 구축한다. 특히 네트워크나 보안 등에 소요되는 각종 장비는 기책정돼 있는 200억원의 올해 예산으로 구입키로 해, 내년에 집행되는 실제 예산은 이보다 훨씬 커질 전망이다.
내년 전자政府 예산 1943억원
레포트 > 기타
◇국가 물류종합 서비스=건설교통부·해양수산부·법무부·관세청 등 대표적인 다부처 연계사업으로 그동안 추진 자체가 지지부진해 왔던 이 프로젝트에 100억원의 예산이 책정되면서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다.
오는 2007년까지 총 3572억원의 예산을 들여 두개의 센터로 나눠 구축되는 통합전산센터 가운데 제 1센터는 대전 KT연구소를 20년 장기 임차해 쓰는 방식이다.
내년 전자政府 예산 1943억원
내년 전자정부 예산 1943억원
행자부 관계자는 “통합전산센터의 각종 장비는 성능과 보안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급으로 구축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기존 외교정보망을 통해서도 본국 간 비밀외교문서의 e메일 전송이 가능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