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교육]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서(우수양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6 22:50
본문
Download : 아동학대.hwp
[아동교육]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서(우수양식)
1절 아동학대의 concept(개념)과 유형
- 집에 돌아가는 것이 무섭다고 이야기한다.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서(우수양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어린이의 행동
아동학대, 아동학대예방,
학대의 유형 :1. 신체적 학대 2. 신체적 방임. 3. 정서적 학대 및 방임 4. 성적 학대
- 정신 이상 또는 정신 병리적인 증상을 보인다.
- 고통을 자주 호소한다.
신체적 학대는 부모 또는 보호자가 고의로 아동에게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것을 의미 한다.
다.
- 집에 돌아갈 시간이 되면 운다. 또는 교육기관 주변을 맴돈다.
- 상처를 가리기 위해 날씨에 맞 지 않은 옷을 입고 있다아
- 정상적 활동(예 : 낮잠)에 불안 해 한다.
- 머리카락이 뽑혀져 있거나 머리 카락이 뽑혀 생긴 상처가 있 다.
일반적으로 영아기와 학령기 어린이에게 더 많이 발생(Miller 등 . 1996)
- 신체의 여러 부분이 골절되어 있고 각 부분의 치유된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아
- 아무에게나 애정을 구한다.)
- 부모나 보호자를 두려워한다.
- 아동에 대해 왜곡된 생각(‘나쁜 아이’ 이상한 아이‘)또는 부적 절한 기대를 갖고 있다아
- 다른 아이가 울면 불안해 한다.
협의 : ‘주 양육자가 아동에게 가하는 적극적이며 의도성이 강한 행위로서 그 위해의 결과 가 비교적 명백한 상태이며, observe 가능한 상처를 초래한 위’(이종복,이배근.1997)를 의미
- 성인들과의 신체적 접촉을 경계 한다.
아동복지법에서의 학대 : 유기와 방임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규정함. 즉 학대를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 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으로 규정 (아동복지법 제2조 4항)
설명
- 상처가 경미하더라도 신체학대 행위를 간과하지 말고 처음 시작될 때 방지할 수 있는 방안(方案)을 모색하도록 한다.
광의 : ‘부적절한 보호로 인해 그리고 아동에게 해를 끼치는 성인으로 인해 아동이 안전하 지 못하다고 간주되는 상황이나 環境’ 이며 적극적인 학대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보호와 양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도 포함.
Download : 아동학대.hwp( 98 )





- 정서적으로 미성숙하다.
- 신체적 학대를 당했다고 호소한 다.
- 수족이 부어 있거나 만지면 아 파한다.
- 애정을 구하지 않으며/않거나 애정을 주지 않는다.
- 치아가 빠지거나 흔들린다.
어린이의 신체적 상태
- 설명(說明)되지 않은 멍, 매, 채찍자 국이 있고 입술, 뺨이 부어 올 라 있다아
- 복부가 불룩하거나 특政府분을 만지면 아프거나 해명되지 않은 상처가 있다아 계속적으로 구토 한다.
아동학대
- 아동의 상처를 감추려 하거나 가해자의 신분을 보호하려 한 다.
- 사람이 문 자국이 있다
-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
- 입, 입술, 잇몸, 눈, 성기, 등, 팔 또는 다리의 뒷면에 해명 되지 않은 찢긴 상처나 찰과상 이 있다아
- 아동의 상처에 대한 정보 제공 을 꺼려한다.
아동학대의 의미
- 해명되지 않은 화상이 있다(예: 담뱃불로 지진 상처, 뜨거운 용액으로 인한 것, 뜨거운 표면에 강제로 앉혀져 생긴 화 상 또는 기구를 피부에 갖다대 었을 때 생기는 화상, 밧줄로 묶거나 마찰에 의한 화상)
1. 신체적 학대
- 자주 지각이나 결석을 한다. - 뇌에 출혈 생김, 뇌 타박상, 실명, 정신지체, 골절, 발작, 사망(Marotz 등. 2000)
보호자의 행동 및 태도
- 술을 많이 마신다.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서(우수양식)
표10-1 신체적 학대를 확인하기 위한 지침
- 위축되어 있고 근심스러워 보인 다.
- 아동의 상처에 대해 관심이 없 다.
- 상처에 대해 설명(說明)하기를 피한 다.
- 흔들려진 아기 증후군(shaken baby syndrome) : 최근에 밝혀진 신체적 학대의 양상으로 영아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며 이 증후군은 영아를 심하게 흔들때 나타나는 것으로 학대 의 증거를 겉으로 남기지 않고 심한 손상을 야기한다. - 큰 아동과 靑少年(청소년) 의 경우 가출, 마약이나 알코올 사용의 경험 이 있다아
- 아동의 연령과 행동에 비해 지나치게 엄격하게 훈육한다.
- 극단적인 행동을 한다(예:극도 로 공격적인 행동을 하거나 움 츠러든다.
순서
- 자신이 어렸을 때 학대받았었다 는 이야기를 한다.
- 아동이 입은 상처에 대해 거짓 된 설명(說明)을 하거나 아무런 설명(說明) 을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