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歷史)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0:18
본문
Download :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hwp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歷史)에 대해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에 대하여 대한민국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국회의 구성을 위하여 미군정당국에 의하여 마련된 법률로 주요제도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④ 선거관리기관으로는 중앙, 시․도, 선거구 및 투표구에 선거위원회를 설치함.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
Download :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hwp( 84 )
순서
⑦ 선거운동 : 특별한 제한없음.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
⑤ 선거인명부 : 선거인의 등록제를 택함.
⑴ 국회의원선거법(1948. 3. 18 미군정법령 제175호)
③ 선거구는 1석선거구[기본적으로 부(현재의 시), 군, 구에 의하되 인구 15만 초과시 분구함]
⑥ 후보자등록 : 정당추천은 없고 선거권자 추천에 의함.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276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A0%95%EC%B9%98%EC%82%AC%ED%9A%8C%ED%95%99%5D%20%EA%B5%AD%ED%9A%8C%EC%9D%98%EC%9B%90%20%EC%84%A0%EA%B1%B0%EC%A0%9C%EC%9D%98%20%EC%97%AD%EC%82%AC%EC%97%90%20%EB%8C%80%ED%95%B4-2767_01.gif)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276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A0%95%EC%B9%98%EC%82%AC%ED%9A%8C%ED%95%99%5D%20%EA%B5%AD%ED%9A%8C%EC%9D%98%EC%9B%90%20%EC%84%A0%EA%B1%B0%EC%A0%9C%EC%9D%98%20%EC%97%AD%EC%82%AC%EC%97%90%20%EB%8C%80%ED%95%B4-2767_02_.gif)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에 대해-276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A0%95%EC%B9%98%EC%82%AC%ED%9A%8C%ED%95%99%5D%20%EA%B5%AD%ED%9A%8C%EC%9D%98%EC%9B%90%20%EC%84%A0%EA%B1%B0%EC%A0%9C%EC%9D%98%20%EC%97%AD%EC%82%AC%EC%97%90%20%EB%8C%80%ED%95%B4-2767_03_.gif)


⑨ 당선인결정 : 단순다수투표제
다. [정치사회학] 국회의원 선거제의 역사(歷史)에 대해
⑧ 개표 : 선거구위원회 집합개표
설명
② 선거비용은 국가가 부담
① 보통․평등․직접․비밀․자유선거 : 우리 나라는 서구제국처럼 보통선거나 평등선거등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을 거치지 않고 선거제도가 마련되면서, 즉 태어나면서부터 보통․평등․직접․비밀․자유선거가 채택되었다 .선거권은 21세이상의 국민(남녀불문)에게, 피선거권은 25세이상의 국민에게 부여되었으며 1인 1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