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비중측정(measurement) 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4 06:37
본문
Download : [유체역학] 비중측정 실험.hwp
항온수조 내의 유체를 가열하여 온도의 alteration(변화) 에 따라 비중이 어떻게 alteration(변화) 는지를 측정(測定) 하고 그에 따른 alteration(변화) 추이를 알아본다.
2. 實驗(실험)장치
(1) 유리관
(2) 버너
(3) U자관
(4) 유체(증류수, 사염화탄소, 등유 등)
(5) 스포이드
(6) 하이트게이지
(7) 항온수조
(8) 온도계
3. 관련理論(이론)
(1) 밀도 (density, p)
밀도는 유체 1m³가 가지는 질량을 의미한다 , 따라서 밀도의 단위는 국제단위계에서
[밀도] = [kg/m³]이고 工學단위계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아
1[kg/m3]= 1[1/9.8 × kgf × s²/m × 1/m³] = 1/9.8 × [ kgf × s²/m / m⁴]
(2) 비중량(specific weight. r)
비중량은 유체 1m³이 가지는 중량(힘)을 의미한다.
비중 = S = ?x / ?water = Px / Pwater
(5)비중 측定義(정이) 원리 (U자관의 원리, 3장에서 다룸
U자관의 물리적원리 : U자관에 한 종류의 액체를 넣으면, 각 용기의 액면의 높이는 용기의 관의 굵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같아진다. 이것은 정지한 유체에는 압력만이 작용하며 이 압력은 어느 방향으로나 일정하다는 파스칼의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아 예를 …(skip)
유체역학,비중측정,실험,유체역학,실험결과
![[유체역학]%20비중측정%20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B2%B4%EC%97%AD%ED%95%99%5D%20%EB%B9%84%EC%A4%91%EC%B8%A1%EC%A0%95%20%EC%8B%A4%ED%97%98_hwp_01.gif)
![[유체역학]%20비중측정%20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B2%B4%EC%97%AD%ED%95%99%5D%20%EB%B9%84%EC%A4%91%EC%B8%A1%EC%A0%95%20%EC%8B%A4%ED%97%98_hwp_02.gif)
![[유체역학]%20비중측정%20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B2%B4%EC%97%AD%ED%95%99%5D%20%EB%B9%84%EC%A4%91%EC%B8%A1%EC%A0%95%20%EC%8B%A4%ED%97%98_hwp_03.gif)
![[유체역학]%20비중측정%20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B2%B4%EC%97%AD%ED%95%99%5D%20%EB%B9%84%EC%A4%91%EC%B8%A1%EC%A0%95%20%EC%8B%A4%ED%97%98_hwp_04.gif)
설명
실험결과/유체역학
순서
[유체역학] 비중측정(measurement) 實驗
Download : [유체역학] 비중측정 실험.hwp( 46 )
[유체역학] 비중측정 실험 , [유체역학] 비중측정 실험유체역학실험결과 , 유체역학 비중측정 실험
[유체역학] 비중측정(measurement) 實驗
다.
2. 實驗(실험)장치
(1) 유리관
(2) 버너
(3) U자관
(4) 유체(증류수, 사염화탄소, 등유 등)
(5) 스포이드
(6) 하이트게이지
(7) 항온수조
(8) 온도계
3. 관련理論(이론)
(1) 밀도 (density, p)
밀도는 유체 1m³가 가지는 질량을 의미한다 , 따라서 밀도의 단위는 국제단위계에서
[밀도] = [kg/m³]이고 工學단위계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아
1[kg/m3]= 1[1/9.8 × kgf × s²/m × 1/m³] = 1/9.8 × [ kgf × s²/m / m⁴]
(2) 비중량(specific weight. r)
비중량은 유체 1m³이 가지는 중량(힘)을 의미한다. 항온수조 내의 유체를 가열하여 온도의 alteration(변화) 에 따라 비중이 어떻게 alteration(변화) 는지를 측정(測定) 하고 그에 따른 alteration(변화) 추이를 알아본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비체적] = [1/밀도] = [m³/kg]
(4)비중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와 표준 상태의 물이 가지는 밀도의 비를 의미한다.
비중측정(測定) 實驗(실험)
1. 實驗(실험)목적
수은, 사염화탄소, 등유 등 여러 가지 유체의 비중을 측정(測定) 한다. 工學단위...
비중측정(測定) 實驗(실험)
1. 實驗(실험)목적
수은, 사염화탄소, 등유 등 여러 가지 유체의 비중을 측정(測定) 한다. 비중은 차원이 없는 무 차원 양이다. 工學단위계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아
1[N/m³] = 1×[kgm/s² × m³ ] = 1×[1/9.8 × kgfs²/m × m/s² × m³] = 1/9.8[kgf/m³]
(3) 비체적(Specific Volume, v)
유체 1kg이 가지는 부피를 의미한다.